Bat Code
slmgr /ipk W269N-WFGWX-YVC9B-4J6C9-T83GX
slmgr /skms kms8.msguides.com
slmgr /ato
slmgr -xpr
- KMS(키 관리 서비스)로 카운트 기반 서버 인증을 합니다.
- 기업용 KMS는 원래 합법적으로 내부 네트워크에서 대량의 PC를 관리하기 위해 쓰입니다.
- 하지만 제3자가 공개 서버를 세워 두면 정품 라이선스 없이도 Windows를 임시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 인터넷에 흔히 보이는 이런 서버 주소는 사실상 불법 크랙 역할을 합니다.
- 사용자를 불법 복제 쪽으로 끌어들이거나, 악성코드 유포·트래픽 수집·백도어 삽입 같은 목적을 숨길 수 있습니다.
- 무료 활성화를 미끼로 사용자 PC에 접근하려는 의도가 숨어 있을 수 있습니다.
- 합법적인 KMS 서버는 기업 내부 IT가 운영하는 폐쇄적 시스템입니다.
- 인터넷에 공개된 KMS 서버는 불법이거나 보안 리스크가 높으므로 정품 라이선스를 쓰는 게 안전합니다.
리테일 라이선스
리테일은 개인 사용자가 정식 경로로 구매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입니다. 박스 제품이나 Microsoft 스토어에서 직접 사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장점은 한 번 구매하면 하드웨어를 바꿔도 계정에 연결해 다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단점은 가격이 비싸고, 인증 과정이 까다로울 수 있다는 점입니다.
OEM 라이선스
OEM은 컴퓨터 제조사가 미리 설치해 판매하는 형태입니다. 노트북이나 완제품 PC에 붙어 있는 정품 인증 스티커가 바로 OEM입니다. 장점은 저렴하고 번들로 바로 쓸 수 있다는 점이지만 단점은 메인보드와 귀속되기 때문에 메인보드를 교체하면 더 이상 인증을 이어갈 수 없다는 점입니다.
볼륨 라이선스
기업이나 학교 같은 조직에서 다수의 PC를 관리하기 위해 쓰는 형태가 볼륨 라이선스입니다. 여러 대의 PC를 한꺼번에 관리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MAK(멀티 액티베이션 키)나 KMS 같은 방법으로 인증합니다. MAK는 정해진 횟수만큼 인증이 가능하고, KMS는 내부 네트워크에 서버를 두고 주기적으로 인증을 갱신하는 구조입니다.
KMS의 원래 목적
KMS는 조직 내에서 수십 대, 수백 대의 PC를 매번 개별 인증하지 않기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입니다. PC들은 일정 주기로 내부 KMS 서버에 접속해 임시로 인증을 받고, 서버는 기업이 보유한 정식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이 구조가 합법적인 환경에서는 편리하고 효율적입니다.
공개 KMS 서버의 문제
문제는 이 구조가 인터넷 상에서 무단으로 열리면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 된다는 것입니다. 정품을 사지 않아도 임시로 활성화가 되기 때문에 사실상 불법 복제와 같은 효과를 냅니다. 또한 이런 서버는 악성코드나 백도어를 숨겨둘 위험이 있어 보안상으로도 치명적입니다. 따라서 기업 내부의 폐쇄망 KMS와 공개 인터넷 KMS는 완전히 다른 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디지털 라이선스와 계정 연동
최근에는 디지털 라이선스라는 방식이 도입되어 Microsoft 계정과 연결됩니다. 이렇게 하면 하드웨어가 바뀌더라도 계정으로 다시 인증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하지만 OEM처럼 계정과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여전히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반드시 계정에 라이선스를 연결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불가피한 상황과 정품 전환 필요성
하드웨어를 교체했는데 인증이 풀리거나, 정품 키가 있는데도 오류로 인증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KMS를 임시로 쓰는 사람들이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불법에 가깝고 보안 위험을 감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급한 일을 처리한 뒤에는 반드시 정품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가장 안전한 방법은 Microsoft 공식 스토어나 공인 리셀러를 통해 라이선스를 새로 사거나, MS 고객 지원을 통해 계정 귀속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